▪ 율곡학파의 「호연지기」장 연구- 이이, 송시열, 이간, 한원진을 중심으로[이해임(한림대)] ▪ 김장생 經書辨疑-孟子 연구초[함영대(성균관대)] ▪ 박세채의 대학 해석이 지닌 특징[이원석(서울대)] ▪ 주자학적 『논어』 해석을 위한 조선의 『주자대전』 활용법-『논어상설(論語詳說)』의 편찬 목적과 의의-[강경현(연세대)] ▪ 백호(白湖) 윤휴(尹鑴)의 『독서기(讀書記)·중용(中庸)』에 나타난 ‘외천(畏天)’과 ‘공구(恐懼)’의 종교학적 함의 – 루돌프 옷토(Rudolf Otto)의 ‘위압성(majestas)’과 ‘두려움(tremendum)’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임재규(서울대)] ▪ "조선 중기 '격치' 개념의 의미화"[이행훈(한림대)] ▪ 中國大陸和臺灣學者的退溪視覺-以張立文與李明輝, 林月惠的四七考察爲例[손양(수원대)] ▪ 임영의 「독서차록」연구[조정은(한림대)] ▪ 화이관과 '九夷'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경구(한림대)] ▪ 퇴계 및 퇴계학파의 대학 해석의 경학적 특징[이현선(서울대)] ▪ 성호 이익의 중용[황병기(대진대)] ▪ 기조발표 : 조선시대 경서해석의 관점과 연변[최석기(한국경학학회장)] ▪ 문화다원론적 관점에서 본 한원진 중용관의 경학적 특징[엄연석(한림대)] ▪ 朝鮮儒學後期的明德論爭[楊祖漢(臺灣中央大)] ▪ 다산 정약용의 성선설 연구[허남진(서울대)] ▪ 霞谷 鄭齊斗의대학관[한정길(한림대)] 맹자 「이루하」 19에 관한 해석상의 논란[장원태(서울대)] ▪ 《論愚潭丁時翰對李理谷的人心道心相為始終說的批評》[謝曉東(中國厦門大)] ▪ 『대학장구』 「정심장」의 주자주 ‘찰(察)’에 관한 조선학자들의 변석[이영호(성균관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