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동고전연구소 특성화•전문화 교육 연구 성과
분류 연구과제명 지원기관 연구기간 내용
교육 한문연수 과정 한림대 1976 ~ 2014 한문연수생을 선발하여 3년간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사서를 총강하고, 삼경을 강독하며, 춘추, 사기와 같은 역사서, 예기 등의 경전, 그리고 여러 한중 문집 등의 고전, 초서를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연구 국역 성호질서 한림대 1990 ~ 1999 한림대에서 지원하는 연구비로 『성호질서』 가운데 논어질서, 대학질서, 중용질서를 주해를 붙여서 국역하였다.
심경주석
자료집성
한국학술진흥재단 2000.12 ~ 2002.11 『심경』과 『심경부주』에 대한 조선 학자들의 주석서 및 해설서 가운데 핵심적인 내용을 발췌하여 주석을 붙여서 번역한 연구과제이다.
옛 편지낱말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11 ~ 2010.10 조선시대 초간문에 반영되어 있는 여러 편지에 쓰이는 전문 용어에 대한 종류와 용례 등을 중심으로 수록한 사전편찬 연구사업이다.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省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 1012 『성재집』에 대한 번역과 교점 작업을 통하여 공동연구사업으로 수행하였다.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剛齋集』

" 2012 ~ 2013 『강재집』에 대한 번역과 교점 작업을 통하여 공동연구사업으로 수행하였다.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明谷集』

" 2013 ~ 2015 『명곡집』에 대한 번역과 교점 작업을 통하여 공동연구사업으로 수행하였다.
성호전서 정본화사업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12 ~ 2014.11 성호전서』에 나오는 여러 개별자료들에 대한 표정과 교감, 주석을 통한 정본화사업이다.
조선전기경학사상사의 통섭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3.9 ~ 2016.8 조선전기 경학사상에 관한 한국문집총간 등의 자료를 강독하여 이에 근거하여 조선전기의 여러 학자들이 가지는 경학적 사유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남양주인문도시, 고전과 역사문화 생명의 강이 흐르는 소동의 공간 한국연구재단 2015.9 ~ 2018.8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연구성과 확산 사업으로 남양주시와 협력하여 인문강좌, 인문체험 축제, 인문투어 등을 통하여 인문학과 인문정신을 확산 고양시키는 사업이다.
논문집 한림대 1984 ~ 2016 연구소에서 간행하는 동양고전에 관한 전문적 학술지이다.


2) 태동고전연구소 학술회의 성과
위의 8회에 걸친 학술회의는 조선시대 경학사상의 토대가 되는 경전에 대한 이해로부터 경세론과의 연관성, 경학사상 사이에 내포되어 있는 연관성, 그리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경학사상 패러다임의 역동적인 변화 등에 관하여 기초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차 학술 심포지움 주제 일시 발표자 / 발표논문
1회

조선시대 성리학의 연속과

단절 문제

2002.11.03
(세종문화회관)

윤사순-성리학과 실학의 동이성 

▪김태영-조선 성리학과 실학

▪송재소-성리학파와 실학파 문학의 연속과 단절 

▪김문용-18세기 북학론의 문명론적 합의

2회 한국 근대의 외세인식과 대응 2003.11.03
(세종문화회관)

▪이상익-위정척사파의 외세인식과 대응 

▪이헌창-개화사상의 대외 인식과 그 대응

▪배항섭-동학농민군의 대외 인식 

▪유초하-근대여명기의 3대 민족운동에 대한 남과 북의 시각

3회 정조시대의 재조명 2004.11.12
(세종문화회관)

▪유봉학-정조시대 사상적 갈등과 문화의 추이 

▪심경호-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에 관한 규견

​▪전성호-합리주의에 기반한 경제성장 모델의 역사적 기원 

▪노대환-서양 과학기술의 수용과 정조의 서학정책

4회 주역과 한국의 학술문화 2006.01.19
(서울역사박물관)

▪강신항-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 

▪한명회-주역과 한국음악

▪김일권-조선중기 우주관과 천문역법의 주역적 인식

5회 조선후기의 역학사상의 재조명 2007.01.19
(서울역사박물관)

▪김인철-성호 이익의 역학관 

▪김영우-정약용의 역학과 실학적 성격

▪이선경-일수 이원구의 역학사상과 그 실학적 성격

6회 여말선초의 경학과 경세론 2008.02.12
(서울역사박물관)

▪정재철-이색의 경학사상 

▪도현철-정도전의 경학과 성리학적 질서의 지향

▪강문식-권근의 五經 인식

7회 조선중기의 경학과 경세론 2008.11.06
(서울역사박물관)

▪김경호-율곡의 무실 지향적 경학관 

▪이영호-퇴계 경학과 경세학의 일면

▪신향림-노수신 초기 사상의 특징과 경세론

8회 성호 이익의 경학과 경세론 2009.11.03
(서울역사박물관)

▪원재린-성호이익의 국가개혁론과 그 사상적 특질

▪이원택-성호의 정치사상과 유교주의 - <곽우록>에 대한 홍이섭의 독법 

▪이헌창-성호이익 경제사상의 경학적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