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동고전연구소 특성화•전문화 교육 연구 성과
분류연구과제명지원기관연구기간내용
교육한문연수 과정한림대1976 ~ 2014한문연수생을 선발하여 3년간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사서를 총강하고, 삼경을 강독하며, 춘추, 사기와 같은 역사서, 예기 등의 경전, 그리고 여러 한중 문집 등의 고전, 초서를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연구국역 성호질서한림대1990 ~ 1999한림대에서 지원하는 연구비로 『성호질서』 가운데 논어질서, 대학질서, 중용질서를 주해를 붙여서 국역하였다.
심경주석
자료집성
한국학술진흥재단

2000.12

~ 2002.11

『심경』과 『심경부주』에 대한 조선 학자들의 주석서 및 해설서 가운데 핵심적인 내용을 발췌하여 주석을 붙여서 번역한 연구과제이다.
옛 편지낱말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2007.11

~ 2010.10

조선시대 초간문에 반영되어 있는 여러 편지에 쓰이는 전문 용어에 대한 종류와 용례 등을 중심으로 수록한 사전편찬 연구사업이다.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省齋集』

한국고전번역원2010 ~ 1012『성재집』에 대한 번역과 교점 작업을 통하여 공동연구사업으로 수행하였다.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剛齋集』

"2012 ~ 2013『강재집』에 대한 번역과 교점 작업을 통하여 공동연구사업으로 수행하였다.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明谷集』

"2013 ~ 2015『명곡집』에 대한 번역과 교점 작업을 통하여 공동연구사업으로 수행하였다.
성호전서 정본화사업한국학중앙연구원

2011.12

~ 2014.11

성호전서』에 나오는 여러 개별자료들에 대한 표정과 교감, 주석을 통한 정본화사업이다.
조선전기경학사상사의 통섭적 연구한국연구재단

2013.9

~ 2016.8

조선전기 경학사상에 관한 한국문집총간 등의 자료를 강독하여 이에 근거하여 조선전기의 여러 학자들이 가지는 경학적 사유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남양주인문도시, 고전과 역사문화 생명의 강이 흐르는 소동의 공간한국연구재단

2015.9

~ 2018.8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연구성과 확산 사업으로 남양주시와 협력하여 인문강좌, 인문체험 축제, 인문투어 등을 통하여 인문학과 인문정신을 확산 고양시키는 사업이다.
논문집한림대1984 ~ 2016연구소에서 간행하는 동양고전에 관한 전문적 학술지이다.

조선시대 경학사상사에 대한 문화다원론적 비판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7.09.01 

~ 2023.08.31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대학중점연구소사업으로, 조선시대 경학사상사를 현대의 문화다원론적 관점에 따라 비판적 시각에서 조명함으로써 조선경학 사상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동요하고 전환하였는가를 탐구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태동고전연구소 학술회의 성과
위의 8회에 걸친 학술회의는 조선시대 경학사상의 토대가 되는 경전에 대한 이해로부터 경세론과의 연관성, 경학사상 사이에 내포되어 있는 연관성, 그리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경학사상 패러다임의 역동적인 변화 등에 관하여 기초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차학술 심포지움 주제일시발표자 / 발표논문
1회

조선시대 성리학의 연속과

단절 문제

2002.11.03
(세종문화회관)

윤사순-성리학과 실학의 동이성 

▪김태영-조선 성리학과 실학

▪송재소-성리학파와 실학파 문학의 연속과 단절 

▪김문용-18세기 북학론의 문명론적 합의

2회한국 근대의 외세인식과 대응2003.11.03
(세종문화회관)

▪이상익-위정척사파의 외세인식과 대응 

▪이헌창-개화사상의 대외 인식과 그 대응

▪배항섭-동학농민군의 대외 인식 

▪유초하-근대여명기의 3대 민족운동에 대한 남과 북의 시각

3회정조시대의 재조명2004.11.12
(세종문화회관)

▪유봉학-정조시대 사상적 갈등과 문화의 추이 

▪심경호-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에 관한 규견

​▪전성호-합리주의에 기반한 경제성장 모델의 역사적 기원 

▪노대환-서양 과학기술의 수용과 정조의 서학정책

4회주역과 한국의 학술문화2006.01.19
(서울역사박물관)

▪강신항-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 

▪한명회-주역과 한국음악

▪김일권-조선중기 우주관과 천문역법의 주역적 인식

5회조선후기의 역학사상의 재조명2007.01.19
(서울역사박물관)

▪김인철-성호 이익의 역학관 

▪김영우-정약용의 역학과 실학적 성격

▪이선경-일수 이원구의 역학사상과 그 실학적 성격

6회여말선초의 경학과 경세론2008.02.12
(서울역사박물관)

▪정재철-이색의 경학사상 

▪도현철-정도전의 경학과 성리학적 질서의 지향

▪강문식-권근의 五經 인식

7회조선중기의 경학과 경세론2008.11.06
(서울역사박물관)

▪김경호-율곡의 무실 지향적 경학관 

▪이영호-퇴계 경학과 경세학의 일면

▪신향림-노수신 초기 사상의 특징과 경세론

8회성호 이익의 경학과 경세론2009.11.03
(서울역사박물관)

▪원재린-성호이익의 국가개혁론과 그 사상적 특질

▪이원택-성호의 정치사상과 유교주의 - <곽우록>에 대한 홍이섭의 독법 

▪이헌창-성호이익 경제사상의 경학적 기초

3) 태동고전연구소 연례 학술대회 성과
회차학술대회 주제일시발표자 / 발표논문
1회

2018년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한국경학학회 공동학술대회

<조선시대 경학사상사에 대한 문화다원론적 비판연구>

2018.4.27.~28

(서울대학교 신양인문학술정보관 

국제회의실(302호))

▪ 이언적의 中庸九經衍義와 衍義別集의 경학사상사적 특색[엄연석(한림대)] 

▪ 조선 전기 군주와 중앙관료의 經術인식 

[함영대(성균관대)]

▪ 經學史적 관점에서 본 浦渚 趙翼의 中庸觀[황병기(대진대)]

▪ 경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조선경학에서의 ‘고(古)’의 지향[이영호(성균관대)]

▪ 17세기 조선경학사에서 주자의 『대학』 해석에 대한 반성 양상- 遲川 崔鳴吉을 중심으로[한정길(한림대)]

『논어』「위정」 9장을 통해 본 조선의 주자학적 경전 해석의 전개[강경현(연세대)]

▪ 조선 초 불교비판의 경학적 근거와 이해 - 정도전의 불씨잡변을 중심으로[이현선(서울대)]

▪ 조선 초기의 경학관과 고문운동적 사유

[이원석(서울대)]

2회

2020년 태동고전연구소 

연례 학술회의

<조선시대 경학사상사에 대한 문화다원론적 비판연구> 

2020.5.29.~30
(온라인 zoom)

▪ 경사강의(經史講義)의 안과 밖 : 조선학술사에서 군사(君師)라는 지위[함영대(성균관대)]

▪ 김원행『중용강설』의 실천지향적 경전해석의 특징-문화다원론적 지향을 중심으로[엄연석(한림대)]

▪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서문」해석과 인물성동이 논쟁[이원석(전남대)]

『대학장구』 「정심」장의 주자주 ‘察’에 관한 조선주자학과의 변석[이영호(성균관대)]

▪ 이병휴(李秉休)의 『대학』해석과 탈주자학적 경향

3회

2021년 태동고전연구소

남명학연구소 공동학술대회 

<오경에 관한 연구논문발표> 

2021.3.26.~27
(온라인 zoom)

▪ 한국 경학연구에서 ‘도설’의 연구방법론적 탐색[최석기(경상대)]

▪ 장현광 태극설과 경위설의 문화다원론적 재조명-『여헌선생성리설』의 이론적 해명을 중심으로[엄연석(한림대)]

▪ 17世紀『家禮』硏究書에서 『禮記를 활용하는 양상과 그 특징[장동우(연세대)]

『조선왕조실록』의 ‘『춘추』’ 기사 분석[이경구(한림대)]

▪ 조선 전기 중앙관료의 『상서』 이해[민혜영(경상대)]

▪ ‘中庸首章에 대한 대산 이상정의 해석[전병철(경상대)]

▪ 퇴계 『시서삼경석의』 저술의 저변에 대한 일고[함영대(경상대)]

4회

2022년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연례학술대회

<오경에 관한 연구논문발표> 

2022.3.25.~26, 4.2
(온라인 zoom)

▪ 조선 중기 춘추 해석의 한 다원적 양상- 은공(隱公) 원년 및 11년 조목에 대한 신민일의 해석과 조익의 비평을 중심으로[이원석(전남대)]

▪ 정조의 춘추 이해와 활용[이경구(한림대)]

▪ 송시열 춘추관 연구[이해임(상산고)]

▪ 하곡 정제두 예학의 문화다원론적 특성 연구[한정길(한림대)]

『家禮附贅』校訂過程에 나타난 順菴 安鼎福의家禮理解[장동우(대진대)] 

▪ 조선 중기 경연에서 「악기」가 논의된 양상: 숙종·영조조를 중심으로[조정은(항공대)]

5회

2023년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연례학술대회

<조선후기 경학사상의 창조적 재해석> 

2023.3.25.

2023.4.29.

(온라인 zoom)

▪ 소상에 상식곡을 그치는 문제에 대한 조선 학자들의 논변[박윤미(한림대)]

『악서고존』에 담긴 다산의 경학과[조정은(항공대)]

▪ 정약용과 윤정기의 종교적 주역 해석 연구[황병기(국제대)]

『서경』 ‘흠휼’에 대한 정약용과 심대윤의 다원적 이해[서세영(한림대)]

『서경』의 흠과 성학의 경[강경현(성균관대)]

▪ 홍대용 춘추관 연구[이해임(상산고)]

4) 태동고전연구소 국제학술대회 성과
회차학술대회 주제일시발표자 / 발표논문
1회

태동고전연구소 ‧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연합국제학술대회 

<조선시대 경학사상사에 대한 문화다원론적 비판연구> 

2019.03.29.-03.30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게스트하우스,

신양인문학술 정보관 국제회의실 (302호)

▪ 율곡학파의 「호연지기」장 연구- 이이, 송시열, 이간, 한원진을 중심으로[이해임(한림대)]

▪ 김장생 經書辨疑-孟子 연구초[함영대(성균관대)]

▪ 박세채의 대학 해석이 지닌 특징[이원석(서울대)]

▪ 주자학적 『논어』 해석을 위한 조선의 『주자대전』 활용법-『논어상설(論語詳說)』의 편찬 목적과 의의-[강경현(연세대)]

▪ 백호(白湖) 윤휴(尹鑴)의 『독서기(讀書記)·중용(中庸)』에 나타난 ‘외천(畏天)’과 ‘공구(恐懼)’의 종교학적 함의 – 루돌프 옷토(Rudolf Otto)의 ‘위압성(majestas)’과 ‘두려움(tremendum)’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임재규(서울대)]

▪ "조선 중기 '격치' 개념의 의미화"[이행훈(한림대)]

▪ 中國大陸和臺灣學者的退溪視覺-以張立文與李明輝, 林月惠的四七考察爲例[손양(수원대)]

▪ 임영의 「독서차록」연구[조정은(한림대)]

▪ 화이관과 '九夷'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경구(한림대)]

▪ 퇴계 및 퇴계학파의 대학 해석의 경학적 특징[이현선(서울대)]

▪ 성호 이익의 중용[황병기(대진대)]

▪ 기조발표 : 조선시대 경서해석의 관점과 연변[최석기(한국경학학회장)]

▪ 문화다원론적 관점에서 본 한원진 중용관의 경학적 특징[엄연석(한림대)]

▪ 朝鮮儒學後期的明德論爭[楊祖漢(臺灣中央大)]

▪ 다산 정약용의 성선설 연구[허남진(서울대)]

▪ 霞谷 鄭齊斗의대학관[한정길(한림대)]

   맹자 「이루하」 19에 관한 해석상의 논란[장원태(서울대)]

▪ 《論愚潭丁時翰對李理谷的人心道心相為始終說的批評》[謝曉東(中國厦門大)]

▪ 『대학장구』 「정심장」의 주자주 ‘찰(察)’에 관한 조선학자들의 변석[이영호(성균관대)]


2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국제학술대회

<한중경학과 한국사상>

2022.12.9.~12.10
온라인 zoom

▪ 기조강연 : 한국철학사에서 자기정체성과 타자성의 문제[방인(경북대 명예교수)]

시경 해석 구도로서의 다산 정약용의 ‘상(象)’[김수경(공주대)]

시경강의보유에 나타난 다산 정약용의 시경인식에 관한 연구[차영익(한림대)]

▪ ‘以意逆志’와 ‘知人論世’에 대한 동아시아의 인식논리[함영대(경상대)]

▪ 槐泉朴昌宇《周易傳義集解》析論[賴貴三(臺灣師大)]

▪ 黃胤錫의 「理藪新編」에 나타난 수리역학의 문화다원론적 독해[엄연석(한림대)]

▪ 栗谷李珥《击蒙要诀》的性质及其意义[陳媛(山东大)]

▪ 18세기 경전ㆍ고전의 실(實), 경세 관련 용어의 부상 [이경구(한림대)]

家禮附贅에 반영된 順菴 安鼎福의 家禮 理解[장동우(안동대)]

朱子言論同異攷: 고증과 의리 사이[윤상수 한림대]

▪ 청대 고증학과 다산의 상서학[노지현(리옹3대)]

▪ 柳僖《尚書》著作考述[陳亦伶(浸会大)]

▪ 霞谷 鄭齊斗 禮論의 양명학적 특성과 그 사상사적 의의[한정길(한림대)]

▪ 영조대 맹자 경연의 정황과 맹자에 대한 인식 고찰 [이해임(상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