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① 2017년 11월 11일(토)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2017년 11월11일(토) 10:00~13:00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 서세영, 엄연석, 이경구, 이해임, 이혜영, 임재규, 조정은, 한정길, 함영대 (총9명)
-회의 안건 :
1. 연구 방향 세부 설정에 대한 논의
2.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어떤 식으로 심화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 진행; 조선 전기 경학사를 기존 연구 대상 자료에 추가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함
4. 선행연구가 되지 않은 것을 중심으로 연구.
5. 텍스트를 부각시키는 방법.
6. 주석서연구방법-비교연구, 초기해석본에서는 논점을 중심.
② 2017년 11월 25일(토)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11월25일(토) 10:00~12:30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 강경현, 엄연석, 이해임, 이행훈, 이현선, 이혜영, 정희윤, 조정은, 한정길, 황병기 (총10명)
-회의 안건 :
1. 정도전 철학에 대해서 중화구설 혹은 기론의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
2. 정도전 철학에 대해서 주희, 북송대학자와 비교하는 것이 문화다원론적 접근인가?
3. 1차년도 연구성과의 질적 양적 향상을 위해서, 전임연구원들이 2차 문헌(연구논문)을 분석해서 발표.
③ 2017년 12월 22일(금)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12월22일(금) 10:00~19:00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 엄연석, 이경구, 이해임, 이행훈, 이현선, 이혜영, 조정은, 한정길, 함영대, 황병기 (총10명)
-회의 안건 :
1. 조선 전기 중용 해석에 관한 선행 연구 (이해임)
2. 조선시대 경학 해석 연구방법론(한국 맹자학 연구 방법론) (함영대)
3. 조선시대 이기심성론에 내포된 문화다원론적 함의 (엄연석)
 
2018년
④ 2018년 1월 26일(금)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1월 26일(금) 10:00~14:00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 강경현, 서세영, 엄연석, 이영호, 이해임, 이혜영, 정희윤, 조정은, 한정길, 함영대, 황병기 (총11명)
-회의 안건 :
1. 1차년도 『논어』에 관한 1차 문헌에 대한 선행 연구
2. 1차년도 연구 가능 주제-대학
3. 1차년도 『맹자』에 관한 선행연구
⑤ 2018년 2월 23일(금)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2월 23일(금) 10:00~16:00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이경구, 함영대, 황병기, 이원석, 이현선, 임재규, 이행훈, 서세영, 이혜영 (총13명)
-회의 안건 :
1. 『논어천설』에 나타난 수기(修己)에 관한 조익의 해석 : 주희 해석과 비교를 중심으로 (조정은)
2. 16세기 조선의 『논어』 연구를 통해 본 조선시대 경전 해석의 양상 (강경현)
3. 정도전의 재상통치론 연구 (이해임)
4. 조선전기 경학과 고문운동 (이원석)
5. 16~17세기 조선경학사에서 주자의 『대학』 해석에 대한 반성 (한정길)
6. 경학사적 관점에서 본 포저 조익의 중용관 (황병기)
7. 이언적의 『중용구경연의』와 『별집』의 경학사상사적 특색 (엄연석)
8. ‘학(學)에서 주의로-17세기 서인의 경서 이해 초점의 변화 (이경구)
⑥ 2018년 3월 24일(토)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3월 24일(토) 10:00~17:00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함영대, 황병기, 이원석, 이영호, 임재규, 강경현, 이혜영 (총11명)
-회의 안건 :

1.중점연구 학술대회 일정 및 세부 절차 회의

일정 : 4월 27~28일(금·토) 

개최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서울대학교 

발표자 : 전임연구원, 공동연구원 등 

논평 : 전체 질의응답

-주제발표 :
1. 조선 경학사에 있어서 ‘화(和)’개념의 변천 (임재규)
2. 포저의 경학사상에 나타난 수기관(공부관): 『논어천설』을 중심으로 (조정은)
3. 『조선왕조실록』 경연 중에 인용한 『맹자』 (이해임)
4. 이언적의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와 『별집(別集)』의 경학사상사적 특색(엄연석)
⑦ 2018년 4월 27일(금)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4월 27일(금) 13:00~22:00
-장소 :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사랑채 비즈니스룸
-참석자 :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함영대, 황병기, 이영호, 강경현, 이현선, 이원석, 서세영, 이혜영
-주제 및 발표자 :
1. 엄연석 : 이언적의 『중용구경연의』와 『연의별집』의 경학사상사적 특색
이언적은 『중용』 20장의 ‘구경(九經)’을 중심으로 하여, 존현(尊賢), 친친(親親) 두 가지가 제왕위치지본이라 규정한 것으로 파악하여, 『중용』을 제왕학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2. 함영대 : 조선 전기 군주와 중앙관료의 경술 인식
『국조보감』에서 관련된 유의미한 구절을 발췌, 모음. 상징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추정이 필요함. 중간 작업 과정임.
○ 집단논평: 이언적은 중용을 왜 제왕학으로 보았는가? 이와 관련한 논의
3. 황병기 : 경학사적 관점에서 본 포저 조익의 중용관
조선 전기 주자학 중심의 경학사의 흐름에 반하여, 조익의 『중용』 연구는 주자설과 다른 이견을 수용하고 있다.
4. 이영호 : 경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조선경학에서의 ‘고(古)’의 지향
주자학 중심의 신주와 한당대 경전주석의 고주를 분류, 『논어』 속에서 학(學), 인(仁), 경(敬)의 의미를 중심으로 신주와 고주의 차이를 제시하고, ‘고’의 회귀는 구체성을 중시하는 것임을 주장함.
○ 집단논평 : ‘경학사적 흐름’에 대한 서술 부분에 대한 지적, 조익의 『중용』 저술간 차이는? 주자학 내부의 분석이 부족함 : 주자학자의 층위를 다양화할 수 있다.
5. 한정길 : 17세기 조선경학사에서 주자의 『대학』 해석에 대한 반성 양상-遲川 崔鳴吉을 중심으로 -
최명길이 『대학장구』 체제를 어떻게 비판하였는지와 그 함의를 삼강령에 대한 이해, 격물에 대한 이해, 성의 중심의 공부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6. 강경현 : 『논어』「위정」 9장을 통해 본 조선의 주자학적 경전 해석의 전개
『논어집주』, 『연평답문』, 『논어정의』, 『논어혹문』, 『주자대전』, 『주자어류』 등의 문헌에서 『논어』「위정」9장 해석의 전반적인 흐름과 구체적 변천 과정 및 논의 주제를 확인, 조선 학계의 해석 양상을 시간적 추이를 고려하며 살피고자 하였다.
○ 집단논평
7. 이현선 : 조선 초 불교비판의 경학적 근거와 이해-정도전의 『불씨잡변』을 중심으로
정도전의 불교 비판 내용은 성리학, 특히 주희의 비판에 의거한 것이므로, 그의 불교 비판에서 주자학에 대한 이해를 살필 수 있다. 이 점에 근거하여 『불씨잡변』을 통해 정도전의 성리학 이해 수준과 불교 비판에 대해 살폈다.
8. 이원석 : 조선 초기 경학관과 고문운동적 사유
‘관도론’과 ‘재도론’의 관점에서, 조선 초기 유학자들의 문도론에서 관도록과 제도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례분석하였다.
○ 집단논평
⑧ 2018년 5월 26일(토)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 5월 26일(토) 10:00~12:30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서세영, 정희윤 (총5명)
-주제 발표 :
1. 일차년도 투고논문 요약 발표
포저 조익의 경학사상에 나타난 수양관 : 『논어천설』을 중심으로 (조정은)
조선 전기 중앙관료의 『맹자』 인식 (이해임)
遲川 최명길의 『대학』관 : 주희의 『대학』 해석에 대한 반성의 한 양상 (한정길)

2. 이차년도 연구주제
조선 중기 학파별 『맹자』의 호연지기에 대한 입론 비교 연구(이해임)
⑨ 2018년 6월 16일(토)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6월 16일(토) 10:00~12:30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임재규, 이원석, 이현선, 황병기, 함영대, 서세영, 이혜영 (총11명)
-주제 발표
◎ 엄연석: 한원진의 『중용경의』의 해석적 특징과 율곡학파 패러다임의 동요
◎ 한정길: 하곡 정제두의 『대학』관 연구-정제두의 『대학』에 대한 이해가 주자학 및 양명학과 어떻게 차별화 되는지를 드러내고자 함. 『하곡전집』의 「대학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
◎ 이해임: 조선 중기 율곡학파의 호연지기론 연구-주희, 이이, 송시열, 한원진, 이간을 중심으로 왕도 사상과의 연관성을 살펴볼 예정
◎ 조정은: 박세당의 『논어사변록』 연구-『논어사변록』에 나타난 박세당의 해석이 조선 경학사상사에서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를 중심으로 규명할 것.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참고해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할 예정
◎ 임재규: 『중용』의 상제 사상-상제 관념이 조선 중기 학자들에게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 볼 예정 (윤휴를 중심으로)
◎ 이원석: 박세채의 『대학』 해석으로 본 율곡학파 해석의 특징
◎ 이현선: 퇴계 및 퇴계학파의 『대학』 해석의 경학적 특징
◎ 황병기: 이익의 『중용질서』의 해석 관점과 퇴계학파 패러다임의 동요
◎ 함영대: 17세기 소론계 학자들의 『맹자』 해석-박세당, 임영, 정제두를 중심으로; 조선 중기 소론계 학자들의 맹자 해석이 어떻게 구체화 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함.
◎ 강경현(연구주제만 보내옴): 주자 문헌의 경전화-“오여회언(吾與回言)”장(章)에 대한 해석의 갈래들에 대한 규명. 조선 후기 명·청대 『논어』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오여회언”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진행되었음.
⑩ 2018년 7월 17일(화)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7월 17일(화) 10:00~12:30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이원석, 임재규, 강경현, 이영호, 이경구, 서세영, 이혜영, 정희윤 (총12명)
-주제발표 :
1. 1차년도 연구성과 검토
연구방법론(문화다원론)에 입각한 연구가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서 검토
2. 1차년도 추후 연구주제
7, 8월 2개월 동안 1차년도에서 다루지 못했던 연구주제, 인물 등에 대한 공동연구 계획 마련
⑪ 2018년 8월 25일(토) 중점연구소 월례회의
-일시: 8월 25일(토) 10:00-14:00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강경현, 임재규, 이현선, 황병기, 서세영, 이혜영 (총10명)
-회의 안건 :
1. 1차 년도 학술 논문 출판 계획: 올해 말까지 1차 년도 학술 논문을 출판할 예정, 기존에 집필한 학술 논문을 보완하여 출판에 원활하도록 협조 요청.
⑫ 2018년 9월 월례회의
- 일시: 9월 29일(토) 10:00~12:30
- 장소: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체리룸
-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이해임, 이원석, 함영대, 황병기, 서세영, 이혜영 정희윤 (총9명)
- 내용 : 2차년도 논문 구상 발표 및 토론, 오후에는 제1회 전문가초청강연회 개최.
⑬ 2018년 10월 월례회의
- 일시: 10월 27일(토) 10:00~16:30
-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이경구, 서세영, 이혜영 (총7명)
내용: 1차년도 발표 논문 수정 상황 보고, 세미나 운영 방식 논의
⑭ 2018년 11월 월례회의
11월 24일(토)로 계획되었으나 갑작스러운 폭설로 회의 당일 취소됨
⑮ 2018년 12월 26일(토) 월례회의
- 일시: 12월 26일(수) 10:00~20:00
-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이원석, 황병기, 함영대, 강경현, 이현선, 서세영, 이혜영 (총11명)
내용: 2차년도 연구논문 주제발표
 
2019년
① 2019년 1월 월례회의
- 일시: 1월 26일(토) 오전10:00~12:40
-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이경구, 이영호, 이행훈, 임재규, 함영대, 서세영, 이혜영, 정희윤 (총12명)
- 내용: 2차년도 연구논문 주제발표, 오후에는 제2회 전문가초청강연회 개최.
② 2019년 2월 월례회의
- 일시: 2월 23일(토) 10:00~12:30
-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엄연석, 한정길, 조정은, 이해임, 함영대, 황병기, 이원석, 임재규, 강경현, 서세영, 정희윤, 엄기정, 안병걸(총13명)
- 내용: 2차년도 연구논문 주제발표, 오후에는 제3회 전문가초청강연회 개최
③ 2019년 3월 월례회의는 국제학술회의 개최로 순연
④ 2019년 4월 월례회의
- 일시: 4월 27일(토) 10:00~13:30
-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엄연석, 이해임, 조정은, 한정길, 강경현, 이경구, 이원석, 임재규, 함영대, 서세영, 이혜영, 정희윤(총12명)
- 내용: 2차년도 논문발표, ‘문화다원론적 비판연구’에 관한 글 발표
⑤ 2019년 5월 월례회의는 2차년도 논문 작성에 집중하기 위해 순연
⑥ 2018년 6월 월례회의
- 일시: 6월 22일(토) 10:30~12:30
- 장소: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엄연석, 이해임, 조정은, 한정길, 이경구, 이원석, 임재규, 황병기, 서세영, 이혜영, 정희윤 (총11명)
- 내용: 3차년도 연구 주제 발표, 2차년도 연차 보고 계획(2차년도 논문 출판 확인 등)
⑦ 2018년 7월 월례회의
- 일시 : 7월 27일(토) 10:00~12:00
- 장소 :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2층 회의실)
- 참석자 : 김용재, 서세영, 엄연석, 이영호, 이원석, 이해임, 이현선, 이행훈, 조정은, 한정길, 황병기.(총11명)
- 내용: 1차년도 출판물 점검, 2차년도 미발표 논문 진행 상황 점검, 전문가 초청강연(성신여대 한문교육과 김용재 교수) : 한국양명학 연구의 諸문제 - ‘霞谷學’에서 ‘韓國陽明學’으로, 그리고 ‘實學’과 ‘天主敎’와의 관계성 및 근대성에 착안하여 -